본문 바로가기

Airport

활주로 보호구역(PRZ)과 종단안전구역(RESA)

 

  활주로 설치기준을 공부하다 보면 두가지 개념에 혼동이 올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기준들을 ICAO나 FAA에서 직역하여 사용하는 실정이기에, 직역된 단어가 그 의미를 100% 살리기 힘든 부분도 분명 존재한다. RPZ와 RESA가 그런 것들 중 하나이지 않을까 싶다.

 

 

RPZ (Runway Protection Zone)

  • 정의:
    RPZ는 항공기가 이착륙 중 활주로를 벗어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 지상의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정되는 지표면 구역이다.
  • 형상과 위치:
    RPZ는 활주로 말단 바깥 방향으로 설정되며, 활주로 중심선 연장선상에서 외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trapezoid) 형태를 이룬다.
  • 설치 기준:
    FAA(미국 연방항공청)의 기준에 따라 RPZ의 크기와 형태는 항공기 등급, 접근 방식, 공항의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된다.
  • 기능과 규제:
    RPZ 내에는 사람이 상주하는 건물, 차량, 인구 밀집 활동 등이 제한되며, 공항 주변 토지 이용 계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RESA (Runway End Safety Area)

  • 정의:
    RESA는 항공기가 착륙 후 멈추지 못하거나 이륙을 중단하는 상황에서 활주로를 이탈할 경우, 항공기 및 탑승객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설치되는 구역이다.
  • 형상과 위치:
    RESA는 활주로 말단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직사각형 형태로, 활주로와 바로 인접한 위치에 설정된다.
  • 설치 기준:
    ICAO(국제민간항공기구)의 기준에 따라 최소 90m, 권장 240m 이상의 길이를 가져야 하며, 지형은 평탄하고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비행장시설 설치기준도 ICAO와 유사하게 최소 90m, 권장 240m 이상을 요구한다.
    FAA는 RESA의 권장 길이를 1,000피트(약 305m)까지 설정하고 있으며, 중심선 양쪽으로 150피트(약 45m)의 폭을 확보할 것을 권장한다.
  • 기능과 설계 요건:
    RESA는 항공기의 구조 손상 및 탑승객 부상을 줄이기 위해 견고하고 평탄한 지형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제동이나 감속을 지원하는 성능은 요구되지 않는다.

 

 

RPZ와 RESA의 비교

● 목적의 차이

RPZ는 활주로 외부의 지상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RESA는 항공기 이탈 사고 시 항공기 자체와 탑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초점을 둔다.

 

● 형상 및 위치

– RPZ는 활주로 말단에서 외부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사다리꼴 형태이며, 활주로 외부에 설정된다.
– RESA는 활주로 말단 연장선상에 설치된 직사각형 형태로, 활주로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 설치 기준 비교

- 활주로 종단안전구역(RESA) 설치 기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기준:

  • 길이: 활주로 말단부터 최소 90m 이상, 권장 길이는 240m 이상
  • 폭: 활주로 폭과 동일하거나 더 넓게 설정
  • 특징: 평탄하고 장애물이 없어야 하며, 항공기 이탈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

미국 연방항공청(FAA) 기준:

  • 길이: 활주로 말단부터 최소 300피트(약 90m) 이상, 권장 길이는 1,000피트(약 305m)
  • 폭: 활주로 중심선 양쪽으로 최소 150피트(약 45m)씩, 총 300피트(약 90m) 이상
  • 특징: 지형은 평탄하고 견고해야 하며, 항공기 이탈 시 안전하게 멈출 수 있도록 설계

대한민국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 길이: 활주로 말단부터 최소 90m 이상, 권장 길이는 240m 이상
  • 폭: 활주로 폭과 동일하게 설정
  • 특징: 평탄하고 장애물이 없어야 하며, 항공기 이탈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

- 활주로 보호구역(RPZ) 설치 기준

2.1 미국 연방항공청(FAA) 기준:

  • 형상: 사다리꼴(trapezoid) 형태
  • 길이: 활주로 말단부터 1,000피트(약 305m)에서 2,500피트(약 762m)까지, 항공기 성능과 공항 등급에 따라 다름
  • 활주로 말단 측 너비: 500피트(약 152m)에서 1,000피트(약 305m)까지
  • 외곽 측 너비: 700피트(약 213m)에서 1,750피트(약 533m)까지
  • 특징: 지상의 구조물, 차량, 인구 밀집 등의 활동이 제한되며, 공항 주변의 토지 이용이 통제됨

2.2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및 대한민국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 현재까지 ICAO와 대한민국의 비행장시설 설치기준에서는 RPZ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화된 지침이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 보호 대상

RPZ는 공항 주변의 인명, 차량, 건물 등 지상의 요소를 보호한다.
RESA는 항공기 및 승객이라는 항공기의 내부 요소를 보호한다.

결론

  RPZ와 RESA는 모두 항공 안전 확보를 위한 필수 공간으로, 각각 다른 목적과 기능을 지닌다.
  RPZ는 공항 외부의 피해를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RESA는 활주로 내 항공기 사고 시 구조적 피해를 줄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두 구역은 상호 보완적인 개념으로, 항공기의 정상 운항과 사고 시 피해 최소화를 위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Airpo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활주로 폭  (0) 2025.04.06
활주로 정지로(Stopway)  (0) 2025.04.05
항공기 제방빙 절차  (0) 2025.04.03
왜 활주로의 횡단 경사는 번호고, 종단 경사는 코드일까 ?  (0) 2025.04.02
항공기 제/방빙 개념  (0)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