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rport (32) 썸네일형 리스트형 활주로 폭 1. 개요 공항의 활주로는 항공기의 이착륙을 위한 핵심 기반시설이며, 활주로의 폭(Width)은 활주로 길이와 더불어 안전성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각 공항은 취급하는 항공기의 종류, 운항 특성, 목적에 따라 활주로의 요구 폭이 상이하며, 이에 대한 국제적·국내적 기준이 정립되어 있다. 2. 활주로 폭 기준이 필요한 이유 활주로 폭은 항공기의 크기, 주행 성능, 기상 조건 등에 따라 항공기가 이탈하지 않고 활주로 내에서 안전하게 이착륙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하는 기본 요건이다. 특히 이륙 중 엔진 고장, 방향 안정성 상실 등의 비상 상황에서는 항공기가 중심선에서 상당한 거리까지 편향될 수 있으므로, 주륜 간격과 함께 일정 수준의 여유 폭이 요구된다. 항공기의 날개폭이 넓거나 .. 활주로 정지로(Stopway) 1. 개요 정지로(Stopway)란 항공기가 이륙을 시도하다가 중단하게 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활주로 말단에 추가로 설치되는 구역이다. 이 구역은 항공기가 안전하게 감속하고 정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비상 상황 시 활주로의 연장 공간으로 활용된다. 정지로는 일반적으로 포장되어 있으며, 항공기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다만, 활주를 위한 추진에는 사용되지 않으며, 오로지 이륙을 중단하는 항공기의 감속을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정지로는 항공기 운항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이륙 중단 시 사고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따라서 이 구역은 이륙 가속-정지 거리(Accelerate-Stop Distance Available, ASDA)에 포함되어 계산되며, 이륙 성능을.. 활주로 보호구역(PRZ)과 종단안전구역(RESA) 활주로 설치기준을 공부하다 보면 두가지 개념에 혼동이 올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기준들을 ICAO나 FAA에서 직역하여 사용하는 실정이기에, 직역된 단어가 그 의미를 100% 살리기 힘든 부분도 분명 존재한다. RPZ와 RESA가 그런 것들 중 하나이지 않을까 싶다. RPZ (Runway Protection Zone)정의:RPZ는 항공기가 이착륙 중 활주로를 벗어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 지상의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정되는 지표면 구역이다.형상과 위치:RPZ는 활주로 말단 바깥 방향으로 설정되며, 활주로 중심선 연장선상에서 외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trapezoid) 형태를 이룬다.설치 기준:FAA(미국 연방항공청)의 기준에 따라 RPZ의 크기와 형태는 항공기 등급, 접근 방식.. 항공기 제방빙 절차 1. 개요 항공기 제/방빙 절차는 항공기가 겨울철 또는 기상 악화로 인해 비행 안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얼음과 눈을 제거하고, 얼음이 재형성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항공기 표면에 얼음이 쌓이면 항공기의 비행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는 비행의 안정성과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제/방빙 절차는 항공기의 안전한 이착륙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공항 내 다양한 역할의 직원들이 협력하여 작업을 진행한다. 제/방빙 절차는 항공기 이륙 전, 항공기 표면에 얼음이 제거되고 방지되도록 하는 작업이 포함되며, 이를 통해 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절차는 공항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항공기 운항의 효율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 왜 활주로의 횡단 경사는 번호고, 종단 경사는 코드일까 ? 국내 기준의 경사 등급 체계 차이 (활주로 vs. 유도로) 국토교통부 고시 「비행장시설 설치기준」에 따르면 활주로와 유도로의 경사도 기준은 등급 체계가 다르게 적용된다. 활주로의 경우 종단경사(Longitudinal slope)는 등급 1~4로 구분되고, 횡단경사(Transverse slope)는 등급 A~F로 구분된다. 반면 유도로(Taxiway)의 종단 및 횡단경사는 모두 등급 A~F 체계를 따른다. 이는 활주로와 유도로의 기능 및 설계상 요구조건의 차이에 따른 분류 방식으로, 각 등급은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항공기의 종류와 운용 조건을 반영한 것이다.활주로 종단경사 등급 (1~4): 활주로에 허용되는 세로 방향 경사도는 활주로 등급번호 1, 2, 3, 4에 따라 달리 정해진다. 등급번호는 활주로의.. 항공기 제/방빙 개념 1. 개요 항공기 제/방빙 시설은 겨울철이나 기후가 차가운 지역에서 항공기 이착륙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시설이다. 항공기가 착륙하거나 이륙할 때, 날개나 엔진 등 주요 부위에 얼음이 형성되면 비행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로 인해, 항공기의 제빙(De-icing)과 방빙(Anti-icing)은 항공기의 이륙 전후 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절차로, 이를 지원하는 제/방빙 시설은 공항의 중요한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 제/방빙 시설은 주로 항공기 표면에서 얼음을 제거하거나 얼음이 다시 형성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겨울철이나 비행 중 기상 변화에 따라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시설은 공항에서 항공기 운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공항 운영과 항공기 .. 공항 커브사이드(Curbside) 1. 개요1.1 공항 커브사이드의 정의 공항 커브사이드는 공항 내 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도로 변 구역이다. 이 구역은 공항 터미널 건물 외부와 도로망을 연결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승객들이 탑승하거나 하차할 때 편리한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주요 교통수단으로는 자가용, 택시, 리무진, 공항버스 등이 있다. 1.2 커브사이드의 역할 공항 커브사이드는 승객들이 공항에 접근하고 출발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승객들이 승하차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공항 이용의 편리성을 높이며, 공항 주변의 교통 흐름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이는 공항의 첫인상을 좌우하는 중요한 구간이다. 1.3 커브사이드와 공항 운송 시스템의 관계 공항 커브사이드는 공항 내 다양한 교통수단이 원활하게 운영되도록 하는 핵심적인 .. 공항 접근방법 1. 개요1.1 공항 접근의 정의 공항 접근(Airport Access)이란 항공기 이용자 및 물류 수송을 위한 교통수단이 도시 또는 배후지역으로부터 공항까지 이동하는 과정 또는 그에 필요한 교통체계를 의미한다. 이는 도로, 철도, 대중교통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포함하며, 접근성은 공항 이용의 효율성과 이용자의 편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1.2 접근성의 중요성 공항은 지역 경제 발전과 글로벌 연계성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공항 접근성은 공항 이용률 및 공항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인 중 하나이다. 접근성이 높을수록 공항 이용이 활성화되며, 반대로 불편한 접근은 수요를 감소시킬 수 있다. 1.3 국제적 기준 및 수치 예시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공항 접근에 있어 통합된 교통 시스템.. 이전 1 2 3 4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