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1 공항 및 비행장의 소음과 소음 단위
공항 및 비행장 주변에서는 항공기 이착륙 및 지상 이동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소음이 발생한다. 이러한 소음은 주변 거주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해 측정되며, 대표적인 소음 단위로 **WECPNL(Weighted Equivalent Continuous Perceived Noise Level)**과 **Lden(Day-Evening-Night Level)**이 사용된다.
1.2 소음 관리의 필요성
항공기 소음은 주민들의 생활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수면 방해, 학습 저해, 건강 문제(청력 손상, 스트레스 증가 등)**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각국의 환경 기관들은 공항 소음 측정 기준을 정하고 소음 저감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1.3 소음 단위의 활용
- WECPNL: 일본, 한국 등에서 공항 소음 평가를 위해 사용
- Lden: 유럽 및 국제 기준(ICAO, EU 환경 기준)에서 주로 활용
- 공항 인근 지역의 소음 노출 지도 작성, 소음 저감 정책 수립, 항공기 운항 제한 기준 설정 등에 활용됨
2. 특징
2.1 WECPNL(Weighted Equivalent Continuous Perceived Noise Level)의 특징
WECPNL은 항공기 소음이 인간의 청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단위로, 일본과 한국 등에서 공항 주변의 소음 영향도를 평가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 소음 감각을 고려한 가중치 적용
- 항공기 소음은 주파수와 시간에 따라 인간이 다르게 인식하므로, WECPNL은 이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다.
- 낮, 저녁, 밤 시간대의 소음을 각각 다르게 평가하여 총합을 구한다.
- 시간대별 소음 영향 반영
- 낮(07:00~19:00), 저녁(19:00~22:00), **밤(22:00~07:00)**으로 구분하여 시간대별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한다.
- 특히 밤 시간대는 수면 장애를 고려하여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한다.
- 단위 표현 및 기준
- WECPNL 값이 높을수록 소음이 심한 것으로 평가되며, 공항 주변의 소음 관리 지역을 설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 일반적으로 WECPNL 75 이상이면 심각한 소음 문제 지역으로 간주된다.
2.2 Lden(Day-Evening-Night Level)의 특징
Lden은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항공기 소음 평가 기준으로, 주간, 저녁, 야간의 소음을 각각 다르게 평가하여 종합적인 소음 수준을 나타낸다.
- 24시간 소음 노출도 평가
- 주간(07:00~19:00), 저녁(19:00~22:00), **야간(22:00~07:00)**으로 나누어 가중치를 적용한다.
- 저녁과 야간 시간대의 소음은 각각 5dB, 10dB의 추가 가중치를 적용하여, 야간 소음의 영향을 더 크게 반영한다.
- 국제 표준화된 평가 방식
- 유럽연합(EU) 및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공항 소음 평가를 위해 공식적으로 채택한 기준이다.
- 환경 영향 평가, 항공기 소음 규제, 소음 저감 정책 수립 등에 활용된다.
3. 방법
3.1 WECPNL 소음 측정 방법
- 소음 측정 지점 선정
- 공항 주변의 주거 지역, 학교, 병원 등 소음에 민감한 구역에서 측정 지점을 설정
- 소음 측정 기기 설치
- 국제 표준에 맞는 소음 측정기(Sound Level Meter, SLM) 사용
- 24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소음을 기록하여 변동 패턴 분석
- 소음 측정 데이터 수집
- 항공기의 이착륙 시 발생하는 최대 소음 레벨(PNL, Perceived Noise Level) 기록
- WECPNL 공식 적용
3.2 Lden 소음 측정 방법
- 소음 측정 지점 선정
- 소음 측정 기기 설치 및 운영
- 시간대별 소음 가중치 적용
- Lden 공식 적용
4. 결론 및 개선사항
4.1 공항 및 비행장 소음 측정의 중요성
4.2 주요 적용 사례
- 공항 소음 완충 지역 설정
- 항공기 운항 시간 제한 정책
- 소음 저감 기술 개발
4.3 소음 측정 및 평가 체계의 한계
- 국제 기준 간 차이점 존재
- 실시간 소음 측정 부족
- 환경 변화 반영 부족
4.4 향후 연구 및 발전 방향
- AI 및 머신러닝 기반 소음 예측 시스템 개발
- 실시간 소음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 구축
- 저소음 항공기 및 운영 방식 도입
이러한 개선을 통해 공항 주변의 소음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주민들의 생활 환경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Airpo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E(Passenger Car Equivalent) (0) | 2025.03.05 |
---|---|
공항 ACR(Aircraft Classification Rating)과 PCR(Pavement ClassificationRating) (0) | 2025.03.02 |
계기(ILS) 활주로 (0) | 2025.02.28 |
공항 터미널(여객청사)의 종류와 배치계획 시 고려사항 (0) | 2025.02.25 |
공항용량의 종류와 이에 미치는 요소 및 운영 중인 활주로 용량 증대방안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