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1 계기활주로의 정의
계기활주로(Instrument Runway)는 항공기가 계기비행(IFR, Instrument Flight Rules) 조건에서도 안전하게 이착륙할 수 있도록 설계된 활주로를 의미한다. 계기착륙시스템(ILS, Instrument Landing System) 등 다양한 항행안전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며, 조종사는 악천후나 야간 등 가시거리가 제한된 환경에서도 정확하게 접근 및 착륙이 가능하다.
1.2 계기활주로의 필요성
- 기상 악화 시 안전한 운항 보장: 안개, 폭우, 눈 등으로 인해 조종사가 활주로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 계기 시스템을 활용하여 착륙 가능
- 공항 운영 효율성 향상: 악천후로 인한 항공기 지연 및 결항을 줄여 공항의 운영 능력을 향상
-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기준 충족: 국제선 및 대형 공항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활주로 시스템
1.3 계기활주로의 활용 분야
- 대형 국제공항: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운항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
- 군용 비행장: 전천후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계기착륙 시스템 필요
- 지역공항: 소규모 공항에서도 계기활주로를 적용하여 운영 가능성을 확대
2. 특징
2.1 계기활주로의 주요 구성 요소
계기활주로는 항공기가 계기비행(IFR)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이착륙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설과 시스템이 포함된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계기착륙시스템(ILS, Instrument Landing System)
- 활주로 중심선을 따라 정렬하도록 유도하는 로컬라이저(Localizer, LLZ)
- 착륙 경로의 강하각을 안내하는 글라이드슬로프(Glide Slope, GS)
- 착륙 유도를 위한 Marker Beacon(외측, 중간, 내측 마커)
2) 활주로 시각유도시설
- 활주로 조명 시스템: 활주로 및 접근로를 밝히는 조명(진입등, 활주로 중심선등, 활주로 말단등 등)
- 활주로 표지판 및 마킹: 조종사가 착륙 시 시각적으로 참고할 수 있도록 활주로 숫자, 방향 표시
3) 기상 및 공항 운영 지원 시스템
- 항공기 기상정보 시스템(AWOS, Automated Weather Observing System)
- 표면 마찰 측정 장비: 빙판, 강우 등으로 인한 활주로 제동 성능 저하 감지
- 항공관제 및 접근 레이더 시스템(ASR, Approach Surveillance Radar)
2.2 계기활주로의 등급(ICAO 기준)
ICAO에서는 계기활주로를 시정(Visibility)과 결합고도(Decision Height)에 따라 **세 가지 등급(Category I, II, III)**으로 분류한다.
- 카테고리 I (CAT I)
- 결심고도(Decision Height) 200피트 이상
- 시정(RVR) 550m 이상
- 기본적인 ILS 장비만 필요
- 일반적인 국제공항 및 지역공항에 적용
- 카테고리 II (CAT II)
- 결심고도 100~200피트
- 시정 300~550m
- 강화된 ILS 및 활주로 조명 필요
- 기상 악화 시에도 착륙 가능하도록 지원
- 카테고리 III (CAT III)
- A, B, C 세부 등급으로 세분화됨
- 결심고도 100피트 미만 또는 없음
- 시정 최소 50m까지 허용
- 자동 착륙(Auto-Landing) 시스템 및 최첨단 계기시설 필요
3. 방법
3.1 계기활주로 운영 절차
- 항공기 접근 및 착륙 준비
- 조종사는 공항 기상 및 활주로 상태를 확인하고, ILS 또는 RNAV(GPS) 접근 절차를 수행
- 공항 관제탑(ATC)은 착륙 항공기에게 접근 경로 및 계기 접근 절차를 제공
- 계기착륙 유도(ILS 또는 RNAV 활용)
- 조종사는 로컬라이저(LLZ) 신호를 따라 활주로 중심선에 정렬
- **글라이드슬로프(GS)**를 따라 착륙 경로 유지
- 자동 착륙(Autoland) 기능이 있는 경우, 카테고리 III 활주로에서 자동화된 접근 수행
- 착륙 후 지상 이동
- 착륙 후, 지상관제(Ground Control)의 유도로(Taxiway) 지시를 따라 이동
- 착륙 후 감속을 위해 제동 시스템과 리버스 스러스트(역추진) 활용
- 눈, 비 등의 기후 조건에 따라 활주로 표면 마찰 계수를 고려하여 감속
4. 결론 및 개선사항
4.1 계기활주로의 중요성
계기활주로는 악천후나 야간 비행 시에도 항공기의 안전한 착륙을 보장하는 필수적인 인프라이다.
- 항공 안전성 향상
- 공항 운영 효율성 증대
- 국제항공 기준 준수
4.2 주요 적용 사례
- 국제공항 및 대형 공항
- 군용 비행장
- 소규모 지역공항
4.3 계기활주로 운영상의 한계 및 개선 방향
- 최신 기술 적용 부족 → RNAV(GPS), 위성항법 시스템(SBAS, GBAS) 확대
- 유지보수 및 운영 비용 문제 →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 활주로 조명 도입
- 자동화 시스템 적용 필요 → CAT III 계기활주로 확대 및 자동 착륙 지원 시스템 강화
4.4 향후 연구 및 발전 방향
- 위성항법 기반 계기접근 방식 도입 확대
- 스마트 공항 기술 적용
- 친환경 계기활주로 시스템 구축
'Airpo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항 ACR(Aircraft Classification Rating)과 PCR(Pavement ClassificationRating) (0) | 2025.03.02 |
---|---|
공항 및 비행장의 소음측정 방법 (0) | 2025.03.01 |
공항 터미널(여객청사)의 종류와 배치계획 시 고려사항 (0) | 2025.02.25 |
공항용량의 종류와 이에 미치는 요소 및 운영 중인 활주로 용량 증대방안 (0) | 2025.02.22 |
집중호우에 대한 평면교차로 배수계획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