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rport

활주로 점유시간(ROT)

1. 개요

1.1 활주로 점유시간(ROT)의 정의
  활주로 점유시간(Runway Occupancy Time, ROT)은 항공기가 착륙 후 활주로에 진입하는 순간부터, 지상 활주를 통해 택시웨이 등 활주로 외 구역으로 완전히 벗어나는 시점까지의 총 시간을 의미한다. 이 정의는 일반적으로 착륙 항공기를 기준으로 하지만, 일부 경우에는 이륙 항공기의 활주로 점유시간을 포함하여 논의되기도 한다.

 

1.2 ROT의 구성 요소
  ROT는 항공기의 속도, 착륙 기술, 조종사의 숙련도, 기상 조건, 항공기 무게, 제동 시스템, 활주로 상태(마찰 계수 등), 유도로 위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활주로에 유도로나 고속탈출로가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면 ROT는 짧아질 수 있다. 반면에, 기상이 나쁘거나 활주로가 젖어 있다면 ROT는 길어질 수 있다.

 

1.3 ROT의 중요성
  공항의 주요 운영 자산 중 하나인 활주로는 시간당 처리할 수 있는 항공기의 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ROT는 공항 용량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ROT가 짧을수록 활주로를 더 빨리 비우게 되어 다음 항공기의 착륙이나 이륙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ROT는 공항 혼잡 완화와 항공교통 효율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ROT는 공항 안전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이착륙 간 간격(Separation)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면 항공기 간 충돌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ROT는 교통량 조정의 기준으로 활용된다.

 

1.4 ROT 관리의 국제적 기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및 각국 항공당국은 ROT를 고려한 운항 규정을 마련하고 있으며, 특히 혼잡공항에서는 ROT를 단축하기 위한 다양한 운영 전략을 도입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속탈출로(Fast Exit Taxiway, FET) 설치, 활주로 사용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ROT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절차 개선 등이 이에 포함된다.

 

 

2. ROT 산정방법

2.1 ROT 산정의 기본 개념
  ROT는 실제 항공기 운항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정되며, 항공기가 활주로에 진입한 시점부터 활주로를 완전히 벗어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초 단위로 측정한다. 이를 위해 공항에서는 감시레이더, 지상감시시스템(ASMGCS), 트랙카메라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다.

 

2.2 산정 기준 시점의 정의

  • 착륙 항공기의 경우
    • ROT 시작 시점: 항공기 주 바퀴(main gear)가 활주로에 접지하는 시점
    • ROT 종료 시점: 항공기의 꼬리 부분(tail)이 활주로를 완전히 벗어나는 시점(일반적으로 마지막 바퀴가 유도로로 진입하는 시점)
  • 이륙 항공기의 경우 (일부 기준에서 포함)
    • ROT 시작 시점: 항공기 이륙 허가를 받고 활주로 진입을 시작한 시점
    • ROT 종료 시점: 항공기의 후방 바퀴가 활주로 끝 지점을 벗어나는 시점

2.3 활주로별 ROT 평균값 측정
  공항은 활주로의 특성과 운영환경에 따라 ROT를 구간별로 나누어 평균값을 산정한다.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항공기 종류별: 경항공기, 중형기, 대형기
  • 시간대별: 주간, 야간
  • 기상조건별: 시계비행(Visual Flight Rule) 및 계기비행(Instrument Flight Rule)
  • 탈출로 유형: 고속탈출로 여부, 유도로 배치

이러한 세부 조건에 따라 ROT 데이터를 누적하고 분석하여, 표준값(Standard ROT) 또는 참고값을 설정하게 된다.

 

2.4 ROT 측정 장비와 기술

  • 지상 감시 레이더(ASDE, SMR)
  • 자동탐지 시스템(ASMGCS)
  • ADS-B 데이터 수신기 및 트랙 시스템
  • 공항 운항통제 시스템(AODB) 연계 분석 도구
    이러한 장비를 활용하여 실시간 또는 이력 기반으로 ROT를 정밀하게 산정하고 기록할 수 있다.

2.5 산정 결과의 활용
  ROT 산정 결과는 단순히 측정에 그치지 않고, 공항 운영계획, 활주로 스케줄링, 항공기 이착륙 순서 조정 등에 직접적으로 반영된다. ROT가 긴 항공기나 조종사에 대한 교육, 활주로 운영 전략 조정 등의 후속 조치도 수행된다.

 

3. ROT의 활용

3.1 공항 수용 능력 산정
  활주로 점유시간은 공항의 시간당 항공기 처리 능력, 즉 수용 능력(Capacity)을 산정하는 데 핵심 자료로 활용된다. ROT가 짧을수록 활주로를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어, 동일 시간 내 더 많은 항공기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 ROT가 50초인 공항과 70초인 공항은 후자의 활주로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다. 이와 같이 ROT는 공항 인프라의 효율성 분석에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3.2 항공교통관제 전략 수립
  관제사는 이착륙 간의 안전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효율적인 흐름을 유도해야 한다. ROT는 이러한 이착륙 간격(Minimum Separation) 결정에 기준으로 사용된다. 특히 바람의 방향, 시정, 기종 간 간섭(Wake Turbulence) 등을 고려한 관제 전략 수립에 ROT 데이터는 필수적이다.

 

3.3 활주로 운영 최적화

  • 고속탈출로 설계 및 배치
    ROT 데이터를 분석하여 탈출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지점, 즉 병목구간을 파악하고, 고속탈출로(Fast Exit Taxiway)를 최적 위치에 설계할 수 있다.
  • 운영 방향 설정
    특정 시간대나 기상 조건에서 ROT가 짧은 방향으로 활주로를 운영함으로써, 전반적인 이착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3.4 운항 절차 개선
  ROT 분석을 통해 특정 항공사의 ROT가 비정상적으로 길다면, 그 원인을 파악하고 조종사 교육, 제동절차 개선, 유도등 추가 등 운영 방안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공항 측에서는 ROT를 줄이기 위한 절차 간소화, 예측 알고리즘 도입 등으로 보다 능동적인 활주로 운영을 실현할 수 있다.

 

3.5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
  ROT는 장기적으로 항공정책 수립 및 공항 확장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특히 혼잡공항에서는 ROT 감소를 위한 투자가 타당성을 갖추기 위한 논리적 근거가 된다.

 

 

 

4. 결론 및 개선사항

4.1 결론
  활주로 점유시간(Runway Occupancy Time, ROT)은 항공기 운항의 효율성과 공항의 용량을 결정짓는 핵심 지표이다. ROT는 단순한 시간 측정이 아니라, 관제 전략, 공항 설계, 항공기 운항 절차 전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로 기능한다.
정확한 ROT 산정과 분석을 통해 공항의 운항 효율을 높이고, 항공 교통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4.2 ROT 단축을 위한 개선 방향

4.2.1 고속탈출로 추가 설치
  기존 ROT 데이터 분석을 통해 탈출 지점에서 병목이 발생하는 구간을 찾아 고속탈출로를 추가로 설치하면 ROT를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다.

 

4.2.2 항공기별 표준 ROT 설정 및 운항 가이드 제공
  항공기 기종별, 조건별 ROT 평균값을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운항 가이드를 제공하면, 조종사들이 보다 효율적인 활주로 이탈을 수행할 수 있다.

 

4.2.3 조종사 교육 강화 및 시뮬레이터 훈련 도입
  ROT를 단축하기 위한 브레이킹 기법, 활주로 이탈 판단 시점 등을 중심으로 조종사 교육을 강화하고, 이를 시뮬레이터로 반복 훈련할 수 있도록 한다.

 

4.2.4 지능형 운영 시스템 도입
  공항 내 ROT 모니터링을 자동화하고, AI 기반 예측 시스템을 통해 이착륙 간격 조정, 동적 활주로 배정 등을 가능하게 하여, 전체적인 활주로 회전율을 높일 수 있다.

 

4.2.5 기상 대응 절차 개선
  비, 눈, 안개 등으로 ROT가 길어지는 상황에서는 표준화된 절차 및 보조 시스템(예: 활주로 표면 상태 정보 제공, 제동계수 자동 안내)을 통해 ROT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Airpo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외 공항 활주로 점유시간(ROT) 비교 분석  (0) 2025.04.27
공항 계획과정  (0) 2025.04.27
활주로 방향 결정방법  (0) 2025.04.23
활주로 폭  (0) 2025.04.06
활주로 정지로(Stopway)  (0)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