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lf Development

EDCF 사업이란 무엇일까 ?

 

 해외사업을 하다보면, EDCF 라는 단어를 종종 듣게 된다.

 ABCDEF... 연속적인 알파벳 구성으로 한번 들으면 잊기 힘든 단어인데, 개념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했다.

 앞으로 영원한 친구가 될 GPT와의 대화에서, 개념 이해에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발췌하여 정리해보았다.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

1. EDCF에 대한 정의 및 목적

**경제발전협력기금(EDCF)**는 대한민국 정부가 1987년에 설립한 공적개발원조(ODA) 기금입니다. 이 기금은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과 사회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주로 장기 저리의 양허성 차관을 제공하여 해당 국가의 인프라 구축, 산업 개발, 기술 협력 등을 촉진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주요 목적

  1. 개발도상국 지원: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도와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2. 국제 협력: 개발도상국과의 경제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과 해당 국가 간의 관계를 강화합니다.
  3. 글로벌 경제 발전: 개발도상국의 성장과 발전을 통해 세계 경제의 균형 잡힌 발전을 도모합니다.

주요 활동:

  • 차관 제공: 개발도상국에 저리의 장기 차관을 제공하여 인프라 프로젝트, 산업 개발 프로젝트 등을 지원합니다.
  • 기술 지원: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여 성공적인 프로젝트 완수를 돕습니다.
  • 역량 강화: 개발도상국의 인력 교육과 역량 강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원합니다.

운영 기관:

  • 기획재정부: EDCF의 운영과 관리 총괄.
  • 한국수출입은행: EDCF의 실질적인 집행 기관으로, 차관 계약 체결, 자금 제공, 사업 모니터링 등을 담당합니다.

2. 사례

주요 지원 대상 국가: EDCF는 주로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협력 사례:

  1. 베트남 호찌민시 도시 철도 건설 프로젝트:
    • 목적: 교통 혼잡 완화 및 대중교통 시스템 개선.
    • 성과: 1호선 도시 철도 건설을 통해 대중교통 접근성을 높이고, 도시 내 이동 시간을 단축시켜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켰습니다.
  2.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도시 철도 건설 프로젝트:
    • 목적: 도시 내 교통 혼잡 해소 및 대중교통 시스템 구축.
    • 성과: 아프리카 대륙 최초의 전기식 경전철 노선을 성공적으로 개통하여 교통 체증 완화 및 환경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3. 필리핀 클락그린시티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 목적: 지속 가능한 스마트 도시 개발 및 경제 발전 촉진.
    • 성과: 클락그린시티의 인프라 구축을 통해 필리핀의 새로운 경제 허브로 발전할 잠재력을 가졌습니다.
  4. 스리랑카 콜롬보-가네무나 철도 현대화 프로젝트:
    • 목적: 철도 운송 효율성 및 안전성 개선.
    • 성과: 철도 운송의 효율성과 안전성이 크게 개선되어 물류와 인적 이동이 원활해졌습니다.
  5. 캄보디아 바탐방 지방 농업개발 프로젝트:
    • 목적: 농업 생산성 향상 및 농촌 지역 경제 발전.
    • 성과: 농업 생산성이 향상되고, 주민들의 소득 증대와 생활 수준 향상에 기여했습니다.
  6.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수돗물 공급 개선 프로젝트:
    • 목적: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 및 위생 환경 개선.
    • 성과: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을 통해 주민들의 생활 환경이 개선되고, 수인성 질병 예방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3. 주요 조건 및 혜택

주요 조건:

  1. 차관 조건:
    • 금리: 0.01%에서 2.5% 사이의 저금리 적용.
    • 상환 기간: 보통 20년에서 40년까지 다양함.
    • 거치 기간: 일반적으로 5년에서 10년.
  2. 대상 국가 및 프로젝트:
    • 대상 국가: 주로 중저소득 국가들.
    • 프로젝트 조건: 개발도상국의 경제 및 사회 발전에 실질적인 기여 가능성과 지속 가능성이 입증되어야 함.

혜택:

  1. 개발도상국:
    • 인프라 개발: 교통, 에너지, 물 관리, 교육, 보건 등 다양한 분야.
    • 경제 발전: 일자리 창출과 소득 증대.
    • 사회적 발전: 교육 시설, 보건 시설 등 사회적 인프라 개선.
  2. 대한민국:
    • 국제적 위상 강화: 국제 사회에서 책임 있는 개발 협력 파트너로서의 이미지 강화.
    • 경제적 기회: 한국 기업들의 해외 시장 진출 및 수출 확대.
    • 외교 관계 강화: 개발도상국과의 협력 강화 및 국제 무대에서의 영향력 확대.

4. 지원 절차

  1. 프로젝트 발굴 및 제안: 개발도상국 정부 또는 한국 기업이 프로젝트 제안을 통해 EDCF 지원을 신청합니다.
  2. 타당성 조사: 한국수출입은행이 해당 프로젝트의 타당성을 조사하고 평가합니다.
  3. 차관 계약 체결: 타당성이 입증된 프로젝트에 대해 차관 계약을 체결합니다.
  4. 프로젝트 실행 및 모니터링: 자금이 제공된 후, 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실행되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5. 상환: 거치 기간 이후 상환이 시작되며, 장기적인 경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5. 결론

EDCF는 철저한 타당성 조사와 심의를 통해 개발도상국의 경제 및 사회 발전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EDCF는 대한민국의 국제적 책임을 다하는 동시에, 개발도상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원하여 세계 경제의 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기금입니다. 

 

 

EDCF는 그 설립 목적부터 아주 의미있는 개념이다. 그 어느나라보다 빠르게 국가의 위상을 높인 우리나라가, 이제는 어느정도 잘 지낼 수 있는 이 시점에, 이런 좋은 제도를 통해 이웃 나라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으면 좋겠다. 결국, 선행?은 돌아온다. EDCF 화이팅 !